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1)들어가며 I. 들어가며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 전 세계 국가 전체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는 총 58,869,279명이며, 그중 사망자는 1,392,795명이다. 우리나라의 인구가 51,780,579명인 것을 생각해보면,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확진자 수는 우리나라 인구수를 넘는 규모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중국 우한에서 시작해 아시아 국가들로 번지다 유럽과 미국으로 확산되고, 최근에는 남미와 아프리카의 국가들까지도 퍼져나가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의 총 누적 확진자 수는 3만 명이 넘었고, 최근에는 3차 대유행으로 인해 매일 300명이 넘는 숫자의 확진자가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역사.. 2021. 7. 15.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 한미관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I.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 한국은 미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반대로 미국은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한국과 미국이 서로를 향해 가지는 두 개의 다른 렌즈를 이해하는 일은 한미관계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는 냉전의 종식, 한국의 민주화, 남북화해와 교류, 두 차례의 북핵 위기,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사건들로 양국이 극적인 변화를 겪었던 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한미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에서 한미 양국과의 관계 및 북한에 대해 갖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적 관점을 제공한다. II. 한국의 정체성 정치 그렇다.. 2021. 7. 15.
초불확실성의 시대 초불 확실성의 시대 21세기 국제정치 경제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2016년 브렉시트로 인해 초국가 연합인 EU에 균열이 발생하고, 그해 11월에 트럼프가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국제정치의 불확실성은 증폭되었다. 게다가 세계는 ‘코로나 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국제적인 위기를 직면했고,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과 함께 세계는 더욱 앞을 내다보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우리 국제사회를 두고 이제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넘어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도래했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서 국제질서가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지 정확히 알고, 이렇게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외교정책은 어떠한 방향성을 지향해야 할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초불 .. 2021. 7. 15.
가스라이팅 뜻 예시 자가진단 총정리!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이란 '심리 지배'라고도 하는데,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를 말합니다. 가스라이팅을 당한 사람은 자신의 판단을 믿지 못하게 되면서 가해자에게 점차 의존하게 됩니다. 가스라이팅의 가해자는 상대방의 기억을 틀렸다며 반박하고, 상황을 왜곡하여 피해자로 하여금 문제의 원인이 스스로에게 있다고 의심을 가지게 만듭니다. 또 피해자의 감정과 생각을 경시하면서, 실제로 일어난 일을 잊은 척하거나 부인하는 행위를 지속합니다. 이 과정을 지속하다 보면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서 가해자는 피해자를 억압하고 통제하면서, 관계에서의 권력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됩니다. 결국 피해자는 자존감이 낮아지고, 판단 능력을 상실하며, 심할 경우 우울증이나 외.. 2021.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