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외교2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이제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전 미국 국무장관인 헨리 키신저가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더라도 세계는 그 이전과는 전혀 같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세계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고,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고 부르면서 뉴 노멀의 등장을 예측하고 있다. 많은 학자와 전문가가 예측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징은 ‘불확실성’으로 요약하여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자본주의 등의 체계와 틀이 사라지고,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특히 미국 패권 중심의 정치 경제 질서나 국제 정치에서 힘과 권력이 우선되는 양상 또한 변화가 일어날.. 2021. 7. 15.
초불확실성의 시대 초불 확실성의 시대 21세기 국제정치 경제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2016년 브렉시트로 인해 초국가 연합인 EU에 균열이 발생하고, 그해 11월에 트럼프가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국제정치의 불확실성은 증폭되었다. 게다가 세계는 ‘코로나 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국제적인 위기를 직면했고,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과 함께 세계는 더욱 앞을 내다보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우리 국제사회를 두고 이제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넘어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도래했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서 국제질서가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지 정확히 알고, 이렇게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외교정책은 어떠한 방향성을 지향해야 할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초불 .. 2021.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