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외교학3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 한미관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I.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 한국은 미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반대로 미국은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한국과 미국이 서로를 향해 가지는 두 개의 다른 렌즈를 이해하는 일은 한미관계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는 냉전의 종식, 한국의 민주화, 남북화해와 교류, 두 차례의 북핵 위기,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사건들로 양국이 극적인 변화를 겪었던 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한미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에서 한미 양국과의 관계 및 북한에 대해 갖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적 관점을 제공한다. II. 한국의 정체성 정치 그렇다.. 2021. 7. 15.
초불확실성의 시대 초불 확실성의 시대 21세기 국제정치 경제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2016년 브렉시트로 인해 초국가 연합인 EU에 균열이 발생하고, 그해 11월에 트럼프가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국제정치의 불확실성은 증폭되었다. 게다가 세계는 ‘코로나 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국제적인 위기를 직면했고,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과 함께 세계는 더욱 앞을 내다보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우리 국제사회를 두고 이제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넘어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 도래했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는 초불 확실성의 시대에서 국제질서가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지 정확히 알고, 이렇게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외교정책은 어떠한 방향성을 지향해야 할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초불 .. 2021. 7. 15.
3∙1독립선언서와 조선혁명선언 비교 3∙1 독립선언서와 조선혁명 선언 비교 두 선언의 내용과 의미를 비교해보자. 3∙1 독립선언서 기미독립선언서는 1919년 3월 1일 3∙1 운동을 기하여 민족대표 33인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글로, 3∙1 운동의 신호탄이 되었으며, 일제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기점이 되었다. 3∙1 독립선언서는 대중화·일원화·비폭력을 독립운동의 3대 원칙을 기반으로 강력한 독립의 의지와 당위성을 내외에 선포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는데,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손병희는 독립선언서 작성의 대원칙으로 첫째, 평화적이고 온건하며 감정에 흐르지 않을 것. 둘째, 동양의 평화를 위하여 조선의 독립이 필요한 것. 셋째, 민족자결과 자주독립의 전통정신을 바탕으로 정의와 인도에 입각한 운동을 강조할 것 등을.. 202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