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동맹2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 한미관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I.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 한국은 미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반대로 미국은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한국과 미국이 서로를 향해 가지는 두 개의 다른 렌즈를 이해하는 일은 한미관계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는 냉전의 종식, 한국의 민주화, 남북화해와 교류, 두 차례의 북핵 위기,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사건들로 양국이 극적인 변화를 겪었던 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한미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에서 한미 양국과의 관계 및 북한에 대해 갖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적 관점을 제공한다. II. 한국의 정체성 정치 그렇다.. 2021. 7. 15.
조선책략의 현대적 의미: ‘신한국책략의 핵심은 한∙미동맹임을 명심해야’ 칼럼 비평, 한미동맹의 미래 조선책략의 현대적 의미: ‘신한국책략의 핵심은 한∙미동맹임을 명심해야’ 칼럼 비평 우리나라 과거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의 황준헌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조선, 일본, 중국 등 동양 3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 서술한 책이 등장한다. 이 책은 19세기 말 조선이 열강의 침략에 직면했을 때, 한국의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준 저서로, 국제 사회의 세력균형 질서를 받아들이되 중국과의 사대관계를 유지할 것을 주장하며 한국은 ‘친 중국, 결 일본, 연 미국’을 통해 러시아를 견제하는 것을 외교의 방향으로 설정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조선책략의 내용에 기반하여 김우상 교수는 ‘신한국 책략의 핵심은 한∙미동맹임을 명심해야’라는 칼럼에서 과거 조선이 열강 사이에서 견고한 동맹관계를 확보하지 못한 것이 우.. 202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