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스트코로나시대2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5). 구체적인 공공외교 활용방안 Ⅴ. 구체적인 공공외교 활용방안 앞서 설명한 공공외교의 방향을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공공외교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공공외교가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국내와 국제 다양한 행위자들이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참여하는 것이고, 그와 더불어 국제사회와 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사업에 적용을 해보면 첫째, 공공외교 추진 체계를 확립해야 하고 둘째,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한 우호적 전략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셋째,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공외교 인프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공공외교 추진체계 확립 이 세 가지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공공외교 추진체계를 .. 2021. 7. 15.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4).공공외교로의 활용 목표 Ⅳ. 공공외교로의 활용 목표 1. 공공외교란? 이제 공공외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공공외교 법 제2조에 따르면 공공외교란 국가가 직접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문화, 지식, 정책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외교활동을 말한다. 즉, 외국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 관계를 증진시키고, 우리의 국가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공외교는 상대국 여론주도층과 국민의 마음을 얻는 외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2021.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