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교5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4).공공외교로의 활용 목표 Ⅳ. 공공외교로의 활용 목표 1. 공공외교란? 이제 공공외교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공공외교 법 제2조에 따르면 공공외교란 국가가 직접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문화, 지식, 정책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외교활동을 말한다. 즉, 외국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 관계를 증진시키고, 우리의 국가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공공외교는 상대국 여론주도층과 국민의 마음을 얻는 외교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의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2021. 7. 15.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이제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전 미국 국무장관인 헨리 키신저가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더라도 세계는 그 이전과는 전혀 같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세계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고,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고 부르면서 뉴 노멀의 등장을 예측하고 있다. 많은 학자와 전문가가 예측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징은 ‘불확실성’으로 요약하여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자본주의 등의 체계와 틀이 사라지고,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특히 미국 패권 중심의 정치 경제 질서나 국제 정치에서 힘과 권력이 우선되는 양상 또한 변화가 일어날.. 2021. 7. 15.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2)코로나19, 대한민국 Ⅱ. 코로나19, 대한민국 코로나 19에 대한 한국의 대처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한국이 어떻게 개방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지역을 폐쇄하는 조치나 억압적으로 강제적인 조치의 시행을 최소화하면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염병을 잘 통제했는가 하는 점이다. 초기 대응에 실패한 세계의 많은 국가는 해외 유입을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높은 강도로 사회를 통제하는 조치를 시행해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대응 방안을 실시하는 정책을 펼치는 경향이 강했다. 많은 국가는 해외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전면적으로 외국인 입국을 금지하거나 14일 자가격리 또는 신규 비자 발급 중단과 같은 사실상의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국제 교통을 중단시키는 등 통제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그리고 국내에서의 확산.. 2021. 7. 15.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 한미관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I.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 한국은 미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반대로 미국은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한국과 미국이 서로를 향해 가지는 두 개의 다른 렌즈를 이해하는 일은 한미관계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나의 동맹 두개의 렌즈』는 냉전의 종식, 한국의 민주화, 남북화해와 교류, 두 차례의 북핵 위기,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사건들로 양국이 극적인 변화를 겪었던 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한미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에서 한미 양국과의 관계 및 북한에 대해 갖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러한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적 관점을 제공한다. II. 한국의 정체성 정치 그렇다.. 2021.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