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19외교2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 이제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전 미국 국무장관인 헨리 키신저가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더라도 세계는 그 이전과는 전혀 같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세계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고,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고 부르면서 뉴 노멀의 등장을 예측하고 있다. 많은 학자와 전문가가 예측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징은 ‘불확실성’으로 요약하여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자본주의 등의 체계와 틀이 사라지고,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특히 미국 패권 중심의 정치 경제 질서나 국제 정치에서 힘과 권력이 우선되는 양상 또한 변화가 일어날.. 2021. 7. 15.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2)코로나19, 대한민국 Ⅱ. 코로나19, 대한민국 코로나 19에 대한 한국의 대처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한국이 어떻게 개방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지역을 폐쇄하는 조치나 억압적으로 강제적인 조치의 시행을 최소화하면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염병을 잘 통제했는가 하는 점이다. 초기 대응에 실패한 세계의 많은 국가는 해외 유입을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높은 강도로 사회를 통제하는 조치를 시행해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대응 방안을 실시하는 정책을 펼치는 경향이 강했다. 많은 국가는 해외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전면적으로 외국인 입국을 금지하거나 14일 자가격리 또는 신규 비자 발급 중단과 같은 사실상의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국제 교통을 중단시키는 등 통제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그리고 국내에서의 확산.. 2021.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