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공공외교 활용방안 (5). 구체적인 공공외교 활용방안

by 존왓슨 2021. 7. 15.

Ⅴ. 구체적인 공공외교 활용방안

 

앞서 설명한 공공외교의 방향을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공공외교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공공외교가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국내와 국제 다양한 행위자들이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참여하는 것이고, 그와 더불어 국제사회와 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사업에 적용을 해보면 첫째, 공공외교 추진 체계를 확립해야 하고 둘째,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한 우호적 전략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셋째,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공외교 인프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공공외교 추진체계 확립

이 세 가지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공공외교 추진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이것은 중앙부처와 지자체, 민간 간 협업 및 조율 체계를 확립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우리나라의 공공외교의 기조 또한 공공외교 추진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공공외교위원회’를 공공외교 통합조정기구로서 설립하여 활동하는 정책을 시행해왔다. 그리고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의 협업을 증진하기 위해 지자체 국제업무담당관이나 지자체 파견 국제대사의 활동을 지원하거나 지자체의 국제교류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의 공공외교 정책을 시행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정부-지자체 간 협업 활동에서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위기에 함께 협력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협력체계를 국제교류의 자원으로 활용하여 공공외교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한 우호적 전략 환경을 조성

두 번째로는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한 우호적 전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우선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그 국가의 정치 ∙ 경제 ∙ 사회적인 부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 맞춤형 정책 공공외교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팬데믹 대처 모델을 알리는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세미나, 포럼, 전시, 공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지 맞춤형으로 한국의 모델을 소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에 중점을 두기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매체로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활용할 수도 있고, 한국의 방역 시스템을 다큐멘터리나 영화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공공외교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의 성공 모델을 내용으로 하여 타국의 주요 대학, 도서관, 문화센터 등에 한국의 선진 IT 기술이 가미된 복합 한국홍보관을 개설하는 사업을 수행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한국의 모델을 알리는 것을 넘어 이것을 타국에 적용해 성공 사례를 발굴해냄으로써 한국의 K-방역 모델에 대해서 더욱 우호적 전략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셋째,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방안을 마련

세 번째로는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공공외교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주체들이 공공외교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주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역할이다.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의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국민이 공공외교관이 되어 한국의 팬데믹 대처 방안 및 그 실효성을 알리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의 모델을 보다 정교화하기 위하여 국민참여단의 의견을 확인하여 이것을 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렇게 국민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민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외교에 대한 정책 제안 공모전을 시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국민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정부와 국민 사이의 소통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공공외교 인프라 강화

마지막으로는 공공외교 인프라를 강화하는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공공외교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내외적으로 정보공유와 소통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공공외교 종합정보시스템 및 공공외교 포털의 기능을 더욱 활성화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언어로 한국의 모델 및 한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고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공공외교 정책이 실효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